명량대첩 - 울돌목의 위치가 맞는것일까?


사실,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은 사람이 많이 알고 있다.
조선의 수군 12척으로 133척 또는 333척을 상대해서 싸우고 그 중에서 31척을 파괴하고 나머지는 후퇴한
유명한 전쟁이다.

나도 정확한 일시는 기억할 겸 한번 적어보자.
선조 30년, 1597년 9월 16일 정유재란때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원균()이 거느린 조선 수군은 대부분 패하였다. 이에 그 해 7월 22일유성룡() 등의 간곡한 건의로 다시 삼도수군통제사(使)로 임명된 이순신은 휘하 군사들의 전열을 재정비하였다.

그러나 당시 군중에 남아 있던 쓸만한 전선()은 칠천량해전에서 배설() 장군이 탈출시킨 12척에 불과하였다. 여기에 일반 백성들이 나중에 가져온 한 척이 더해져서 13척이 되었다. 이때 일본 수군은 한산섬을 지나 남해안 일대에 침범하면서, 육군의 육상 진출과 동시에 서해로 진출하려 하였다.

따라서 이순신은 서해 진출의 물목이 되는 명량을 지키기 위해 이진()·어란포() 등지를 거쳐 8월 29일 벽파진(: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벽파리)으로 이동하였다. 일본 수군은 벽파진에 있는 조선 수군에 여러 차례 야간 기습작전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우리 측의 철저한 경계망에 걸려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적의 정세를 탐지한 이순신은 명량을 등 뒤에 두고 싸우는 것이 매우 불리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는 9월 15일 조선 수군을 우수영(: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으로 옮겼다. 다음 날인 16일 이른 아침 일본 수군이 명량으로 진입하였다. 일본 수군의 진입 사실을 알게 된 이순신은 출전령을 내리고 최선두에 서서 명량으로 향하였다. 그 때 명량의 조류는 거의 정조시기()였으며 일본 수군의 전선은 133척으로 확인되었다.

이순신은 명량으로 들어서면서 일자진()을 형성해 일본 수군의 수로 통과를 저지하려 하자, 일대 혼전이 전개되었다. 그리고 조류는 서서히 남동류()로 방향을 바꾸어 흐르기 시작했으며, 일본 수군은 이순신이 타고 있는 전선을 포위하려는 기세였다.

매우 위급한 순간, 이순신은 뒤에 처져 있는 거제현령 안위()와 중군() 김응함() 등에게 적진으로 돌진하게 하자, 전투는 절정에 이르렀다. 또한, 방향을 바꾸어 흐르기 시작한 조류는 소수의 전선이 활동하는 조선 수군에 비해 많은 전선을 거느리고 있는 왜군에게 상대적으로 불리하였다. 협수로에서의 불규칙한 조류 분포로 인해 서로의 진형()과 대오()가 붕괴되고 있었다.

격전중 이순신의 전선에 동승하였던 투항왜인 준사()가 적선을 내려다보며 “꽃무늬 옷을 입은 저 자가 바로 안골포해전() 때의 일본의 수군장수 구루시마()다.”라고 외쳤다. 그러자 이순신이 김석손()을 시켜 그를 끌어올린 뒤 목을 베어 높이 매달자, 이를 본 일본수군은 사기가 극도로 저하되었다.

이에 전투의 기세를 잡은 조선 수군은 현자총통()과 각종 화전()을 쏘면서 맹렬하게 공격하였다. 녹도만호 송여종()과 평산포대장 정응두() 등 여러 장수와 병사들이 적선 31척을 분파하자 일본 수군은 물러나 도주하고 말았다.

이 해전의 승리로 이순신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10배 이상의 적을 맞아 협수로의 조건을 최대한으로 이용해 그들의 서해 진출을 차단함으로써 정유재란의 대세를 조선군에게 유리하게 전개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열세한 병력을 지휘한 이순신은 위장전술로써 피난선 100여 척을 전선으로 위장해 뒤에서 성원하게 하였다는 것과, 철쇠()를 협수로에 깔아서 적선을 전복시켰다는 기록도 일부 전해오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명량대첩 [鳴梁大捷]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유명한 전투에서 나는 궁금증이 생겼다.

1. 12척으로 133척을 물리치기 위해서는 지형을 이용한 전략이 필요했다.
그래서, 찾은 곳이 울돌목이다.

2. 일본 수군이 그 많은 배를 끌고 쳐들어 오면서
왜 굳이 저 좁은 길로 왔을까?

임하도와 축강선착장 사이로 오는게 더 낫지 않을까?
당신이 많은 배를 이끌고 처들어 오는 사람이라면, 좁은 길로 가겠음?

인터넷에서 있는 수 많은 내용들을 다 살펴보고 있으나, 이 위치에 대해서 언급한 사람은 딱 한 명이다.
그 외에는 이 전투의 가치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니 말이다.

일본군이 서진을 하려는 목표라고 한다면, 왜 굳이 저 좁은 울돌목으로 오려고 했을까? 하는 의구심은
없어지지 않는다.

이 의문 자체가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의 가치를 깍아내리는 일이 아니라는 것은 당연히 알 것이라 생각한다.
굳이 명량대첩이 아니더라도, 전 세계에서 존경 받아야 할 위대한 장군이라는 것 쯤은 아니까 말이다.

그런데, 사실 보고 나니까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answer 1. 몰래 올려고?
answer 2. 물쌀이 쎄고, 지름길이라 조금이라도 빨리 오려고?
 answer 3. 이순신 장군이 거기에 있는 것을 알고 회피하기 싫어서...즉, 얼마나 강한지 겨뤄보고 싶어서...

나는 위키에 보면 이것 말고도 몇 가지 의문이 드는 사항이 있기는 하며,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어서

덧글

  • 명량위치알아요 2019/04/07 20:13 # 삭제 답글

    명량해전은 임하도에서 있었던 해전입니다. 왜군은 서해로 가는 물길을 잘 몰랐기에 임하도의 좁은 수로르 통과하려다가 조선 수군에게 막힌것입니다.
    그리고 통제사는 병력을 반으로 잘라서 반은 좁은 수로를 막고 반은 임하도를 우회하여 공격을 퍼부었습니다.

    https://blog.naver.com/youlovealways/221452369040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