굉장히 짧은 동영상이다.
아마도, 다른 영상에서 이 부분만 빼낸 것 같다.
요즘에 유튜브를 자주 보는데, 그 중에서 여러가지가 있지만,
심리학(쏘시오패스, 인문학, 심리학자) 관련 유튜브를 많이 본다.
왜 그런가 싶어서 봤더니,
삶의 중반이 넘어가는 기점에서 이제 무언가 삶을 되돌아보고 불필요한 부분들을 정리하기 위해서라고
스스로 자위도 해본다.
책을 읽는 것도 좋아하는데, 유튜브로 짧게 짧게 보니까, 더 좋다.
물론, 편리하지...
대신에, 한번만 보지는 않고 자주 자주 이것저것 살펴보는 중이다.
그 중에서, 직장생활에 대한 꿀팁을 알려주는데,,,
웃기면서도 슬프다.
그리고, 사실이라는 점이 더 끌렸다.
1. 조직생활을 하는 이유는?
모든 에너지를 다 쏟지말고, 당신만 일하는게 아니라는 점.
2. 과한 책임감을 벗어나라
손님의식을 지녀라.
회사는 CEO꺼다. 직원꺼 아니다.
하지만, 들키지 말아라.
그거 알게되면 짤린다.
3. 직장에서의 직장과 역할이 별도로 있다.
현재 일은 3명이 한다고 해도, 나머지 7명은 다른 일에 또 투입될 시기가 있다.
그리고, 3명중에 한 명이 펑크내면 분명 다른 사람이 그 일을 한다.
이 내용이 저 짧은 동영상의 내용이다.
그 이후에 내가 덧붙일 말 또는 생각은 아래와 같다.
조직생활을 하는 이유는? 돈을 벌기 위해서라는 뻔한 대답은 뒤로하고
진짜로 돈을 벌고 싶다면, 혼자서 일해서 혼자서 버는게 맞다.
(사장이 아닌이상)
하지만, 조직생활을 하는 이유는 적당한 에너지를 쏟으면서 삶을 영유하기에 가장 적합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직생활의 적당함이라는 것이 유지가 되어야한다.
회사 일을 마치고 집에 와서 녹초가 되는 사람이 있다면,
진짜로 고민을 많이 해야된다.
어쩌다가 녹초가 되는 것이야 이해할 수 있다고 쳐도,
매일 매일, 한달, 두달 이렇게 회사갔다가 오면 집에서 아무것도 못하고
녹초가 되는 상황이라면 이건 분명히 문제가 있다.
회사생활을 하기 위해서 태어난 사람도 아니고, 인생을 그렇게 살다가 버릴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위에서 말한 첫번째...모든 에너지를 다 쏟지 말라는 말을 나는 그렇게 이해한다.
2번 내용에 대해서도
과한 책임감을 버려라. 회사는 내가 없다고 해서 안돌아가는 건 절대 아니다.
일단, 그런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건 자신의 착각인 것이다.
그리고, 그 착각이 진짜인지 아닌지 확인할 방법은 한가지 있다.
퇴사할 생각을 가지고,
자신의 가치가 높다고 판단한다면, 사장과 딜을 하면된다.
받아들여지면 회사에서 중요한 사람인거고, 아니면 마는거다.
그리고, 매번 사장들이 입버릇처럼 말하는 "주인의식을 가져라"
이건 진짜 누가 이 말을 처음에 해서 이렇게 퍼졌는지 모르겠지만,
그 회사는 사장꺼지, 직원께 아니다.
주인의식을 갖는다면, 월급을 오를 수 있다. 그것도 200%만큼 노력해서 130%를 건진다고 보면된다.
회사에서는 언제라도 그 사람이 노력한 것 보다 더 주는 회사는 없다.
100%을 노력하면 70을 주고, 130%을 노력하면 100을 주고
150%을 노력하면 110을 주고, 200을 노력하면....그 보다 조금 더 주는 정도이다.
그러니까, 회사는 직원 것이 아니다.
그래서, 손님의식을 가져라라는 말 자체는 이 영상에서 처음 들어봤는데
진짜 그게 맞다.
나는 왜 왜 저런 단어를 생각해내지 못했을까 싶다.


덧글
회사에서 3명만 일해~나머지 7명은 놀아. 하지만 결정적일 때 그 나머지 7명 중에서 해결을 한다는 말.
이게 참 나한테는 묘한 뉘앙스로 다가온다.
회사에서 정말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그 사람일지라도, 결정적일 때 회사에서 필요한 것이다. 중요한 일을 하고 나서 다른 일에는 필요가 없을 뿐인 것이다.
회사 업무에 늘 모든 것에 다 100% 필요한 사람은 그 회사에 있어서 안되는 사람이다.